
사람은 누구나 다 욕심이 있습니다. 세상에 욕심이 없는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겁니다. 사람은 욕심이 채워질 때 행복함을 느끼고, 욕심이 채워지지 않을 때 불행을 느낍니다. 그런데 문제는 욕심의 충족으로 느끼는 행복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욕심이 채워지면 만족하고 행복한데 얼마 안가서 금방 그 행복감이 사라집니다. 그러면 또 전보다 더 큰 욕심을 부리고, 그 욕심이 채워지면 행복해 합니다. 그리고 그 행복감을 상실하면 또 더 큰 욕심을 부리는 반복을 무한히 계속합니다. 예수님은 우물가에서 만난 사마리아 여인에게 '네가 주는 물은 다시 목마를 것이다'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물은 마실 때뿐 조금 있으면 또 갈증을 느낍니다. 세상 욕심과 행복도 마찬가지입니다. 마셔도, 마셔도 또 다시 목마른 불완전한 시원함입..

TV에서 내셔널 지오그래피를 보면 가끔 동물의 세계가 나옵니다. 언젠가 그 영상을 보다가 깨달은 게 있었습니다. 넓은 초원에서 사슴 한 마리가 두리번거리며 풀을 뜯으려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화면 구석에서 사자가 몸을 잔뜩 숙이고 살금살금 사슴에게 다가갑니다. 점점 거리가 좁혀지는데 사슴은 사자가 오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 같습니다. 사슴은 계속 주위를 살핍니다. 그런데 사자는 충분히 공격을 할 거리에 있음에도 사슴에게 섣불리 달려들지 않습니다. 사자의 순발력으로는 충분히 사슴을 덮칠 수 있는 거리였지만 사자는 계속 눈치를 살핍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사자가 사슴에게 달려들고 사슴 사냥에 성공합니다. 사자는 왜 바로 달려들지 않고 때를 기다렸을까요? 사자는 숨죽이고 기다리다가 어떤 상황에서 사슴..

우리의 삶을 이끄는 요인 우리의 삶은 무엇엔가 이끌리어 살아가고 있습니다. 수많은 환경, 가치, 감정, 물질에 좌우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중에 가장 보편적으로 우리의 삶을 이끄는 다섯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1. 죄의식 : 과거에 대한 후회, 부끄러움으로 미래가 좌지우지되며, 자신의 성공을 파괴함 2. 분노 : 용서로 해소하기보다는 자신의 마음의 상처를 계속 반복함 3. 공포 : 과거의 충격적 경험이나 아직 생기지도 않은 미래에 대한 불안함 4. 물질 : 무언가를 모으는 것이 삶의 목적이고, 더 많이 가지면 더 행복해질 것이라는 착각 하며,, 이는 더 새롭고, 더 크고, 더 좋은 것을 원하게 됨 5. 타인으로부터의 인정 : 부모, 배우자, 자녀, 친구, 주위 사람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

우리는 무엇이 선이고 무엇이 악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게 악인 지를 알면서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의 시험을 당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감당할 수 있는 시험보다 더 큰 시험을 주시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가만히 있으면 시험에 무너질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시험을 이기기 위한 연습을 해야 합니다. 1. 우리의 연약함을 깨달아야합니다. "그런즉 선 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 (고린도전서 10:12) 우리는 참으로 연약합니다. 누구든지 죄를 지을 상황이 주어졌을 때 피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여러분은 시험을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그럴 때 어떻게 하셨습니까? 우리 자신을 유혹의 환경에 내버려 두지 마세요. 피하는 것이 맞서서 싸우는..